올해 연근해어업 생산 정체...주요 어종 생산 변동성 커질듯
올해 어업별 생산량 373만톤으로 전년보다 2% 상승할 것으로 전망
연근해·해면양식업·원양어업 등 해면어업 증가 내수면은 감소 예측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지난 11일 주최한 ‘2024 해양수산전망대회’에서 수산어촌분야 주제발표를 한 사람들은 모두 올해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 및 수산물 수출, 국제적인 환경 등을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어촌 역시 고령화로 어업인구 감소세가 지속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주제 발표자의 발언 내용을 발췌한다.<편집자 주> 

 □수산어촌분야

수산어촌세션에서는 김수현 KMI 수산업관측센터장이 ‘수산업 전망과 과제’, 정명화 KMI수산정책연구실장이 ‘수산분야 국제논의 동향과 이슈’를, 박상우 KMI어촌연구부장이 ‘어촌 전망과 과제’를 발표했다. 

양식 해조류 중심 생산 증가 및 수온 상승 등에 따른 작황 변화도 늘어날 듯

고등어 오징어 등 변동성 확대 어종과 자원 모니터링· 등 현장 중심 대응 필요

 ‘수산업 전망과 과제’를 발표한 김수현 KMI 수산업관측센터장은 올해 생산부문은 연근해어업 생산 정체 및 오징어 고등어 멸치 등 주요 어종의 생산 변동성이 확대되고 양식 해조류 중심의 생산 증가 및 수온 상승등에 따른 작황 변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그러나 올해 어업별 생산량은 373만톤으로 전년보다 소폭(2%. 6만 9,000톤)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어업별로는 연근해어업은 96만 4,000톤으로 지난해보다 1만 2,000톤, 해면양식업은 232만 5,000톤으로 5만 7,000톤이, 원양어업은 40만 2,000톤으로 지난해보다 1,000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내수면어업은 4만 2,000톤으로 지난해 보다 1,000톤 가량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연근해어업은 조업여건 개선으로 전년보다 어로일수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해면양식업은 어기초 해조류 작황이 회복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광어 출하가능물량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수출 감소하고 수입은 늘어 수산물 무역수지 적자 예상

김 수출 강화위해 ·제품개발·시장 품질 우위 확보·  해야

재수출용 수입, 수출에 영향…오징어 수입 등이 영향줄 듯

수산물 수출은 지난해에는 재수출용 수입물량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4.6%가 감소한 30억 400만달러(잠정치) 어치를 수출했으나 올해는 생산자 가격 하락에 따른 수출량 증가와 김 수출 증가세 지속 등이 예상돼 지난해보다 2.9%가 늘어난 30억 9,200만달러 어치를 수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9%, 8,800만달러가 늘어난 것이다. 

 수산물 수입 역시 올해는 주요 소비자 선호 수입수산물 소비가 늘면서 수입금액이 전년 대비 5.9%가 증가한 67억 4,400만달러 어치가 수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에는수입금액은 63억 7,000만달러(잠정치)로 전년 대비 8.2%가 줄었다. 수출과 마찬가지로 재수출용 수입 물량이 줄어들어 대부분 부류 수입금액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한 반면 오징어 수입이 늘면서 연체 동물 수입금액이 전년 대비 1.9% 증가한 것을 원인으로 봤다. 

어가인구 감소세 지속…전년 대비 2.9% 줄어든 8만 3,321명 예측

어가 수 역시 감소세 전년보다 1.8%가 감소 4만 335호 될 것 예측

 어가인구는 올해 역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지난해 어업소득 증가 영향으로 감소분이 일부 상쇄돼 전년 대비 2.9%가 줄어든 8만 3,321명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에는 고령화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년 대비 5.5%가 감소한 8만 5,839명으로 추정했다. 

 어가 수 역시 올해도 어가수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전년보다 1.8%가 감소한 4만 335호기 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에는 고령화, 귀어귀촌 인구 유입 둔화등으로 전년 대비 3.5%가 감소한 4만 1,057호(추정)로 예측했다.

 어가 소득은 올해 5,791만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3.4%가 늘어난 것이다. 생산량 증가에 따른 어업소득 증가와 어업외 소득이 증가 등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어업소득은 지난해 보다 4.6%가 증가한 2,481만원으로 전망했다. 어업외 소득 역시 전년 대비 2.5% 증가한 3,310만원을 예측했다.

 김수현  관측센터장은 올해 생산부문은 연근해어업 생산 정체 및 오징어 고등어 멸치 등 주요 어종의 생산 변동성이  확대되고 양식 해조류 중심의 생산 증가 및 수온 상승등에 따른 작황 변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그는 이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규제 수용적 자원관리와 불법어업 관리를 강화하고 고등어 오징어 등 어획변동성 확대 어종을 대상으로 자원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양식장 모니터링 강화와 기존 양식 순기에 대한 현장 중심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수출부문은 올해도 김 단일 품목 중심의 수출이 확대되고 특정 품목 및 시장에 대한 수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김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장 및 제품개발, 동일제품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품질 우위 확보, 품목 다각화를 위한 기업 ·제품·물류 지원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수산물 수급과 관련해서는 생산 정체로 어류 패류 갑각류 연체동물류 수입 증가로 수산물 자급률이 하락하고 수산물 수급 변동성 확대 및 소비자 물가상승이 우려된다며 데이터 기반 수급 관리 고도화를 통한 수급 위험 선제 대응시스템 구축과 주요 소비 수산물에 대한 국내외 공급망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 정부 비축 및 민간 수매 등 수급 조절 사업을 확대하고 상생할인사업 등을 통한 물가 안정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영주>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