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하나로마트 1,000평~9,000평 규모 6개 , 수협은 1,000여평 춘천점이 고작
수협 바다마트 전국 매장 전부 합쳐도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 하나보다 적어
지금 상황서 서울서 수산물 홍보·할인 행사 하려면 농협 하나로마트 매장 빌려야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방류라는 대형 악재 속에서 먹거리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과 우려가 팽배하고 있으나 수산물 판매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시설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수산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 안심하고 물건을 살 수 있는 곳이 필요하다. 소비자들이 그곳에서 물건을 사면 그래도 믿을 수 있다는 까닭에서다. 

 한 수산물 유통인은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수산물 도매시장도 중요하지만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곳에서 물건을 사는 게 중요하다”며 “수협 간판을 단 대형마트에서 수산물을 판다면 안전에 대한 국민 신뢰도가 한층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수협은 이런 대형 판매처가 없다. 서울에는 수산물 전용시장으로 노량진수산시장과 강서수산물도매시장이 있다. 하지만 이 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일식당이나 가공업자, 중간 상인들이다. 이른 새벽 노량진수산시장 앞 도로에 차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이 시장을 이용하는 일반인들은 그리 많지 않다는 얘기다. 

 9월 말 현재 수협중앙회가 자회사(수협유통)를 통해 직영하고 있는 바다마트는 12개가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점포 중 가장 오래된 점포는 1990년 5월에 만들어진 제주점(전용면적 31평)이다. 그러나 2016년 6월 춘천점이 만들어진 이후 점포가 새로 만들어진 게 없다. 수산물 소비 확대가 필요하다면서도 수산물을 판매하기 위한 인프라는 8년 동안 전혀 만들지 않은 것이다. 규모도 전용면적이 200평 이하가 5개(42%)나 된다. 1,000평이 넘는 곳(춘천점 1,794평)이 한군데 있지만 대부분 SSM(기업형 슈퍼마켓)이나 동네 슈퍼보다 약간 큰 수준의 매장이라는 얘기다. 매장 평균 규모는 442평. 하지만 춘천점을 제외하면 11개 매장은 평균 319평에 그치고 있다. 게다가 일선수협이 운영하고 있는 소규모 매장은 고작 39개에 불과하다.

 반면 같은 1차 산업인 농협의 하나로마트는 1,000평 이상이 6개다. 서울에 있는 양재점, 창동점을 비롯해 대전, 청주, 부산, 전주 등이 모두 1,000평을 넘는다. 서울에 있는 양재점은 9,000평, 창동점은 6,600평 규모다.  

 수협 전체 바다마트 규모가 5,307평이니까 서울에 있는 농협 하나로마트 하나만도 못하다는 얘기다. 여기에다 지방 농축협이 운영하고 있는 점포가 무려 2,400개에 이른다. 

 이러다 보니 참치데이 등 수산물 홍보나 할인행사를 하려면 수산인들은 사람이 많이 몰리는 농협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자리를 빌려 행사를 치를 수밖에 없다. 소비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한데 수협은 그런 대형인프라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하나로마트 일부 매장은 국내 3대 대형마트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평균 매출액은 물론 최고 점포 매출액과 어깨를 겨루고 있다. 축산물의 경우 삼겹살 브랜드만 10여종이 넘고 이마트의 축산물 코너보다 평균 3배 이상이 크다. 특히 하나로마트 양재점은 한 때 점포 기준 대형마트 매출액에서 미국의 다국적 기업 코스트코와 매출액 경쟁을 벌일 만큼 성장해 있다.  

 따라서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때문에 수산물 소비가 어렵다고 생각해 어업인들을 지원한다면 먼저 이런 판매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나 정부는 당장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지 않게하기 위해 할인행사, 온누리 상품권 환급, 정부 비축, 어업경영지원 등에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는 지난 20일 간부들과 노량진수산시장을 둘러본 뒤 올해 중 예비비 800억원을 포함해 1,440억원을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해 투입하겠다고 했다. 아직까지는 오염수 방류 초기이고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홍보와 소비 활성화 지원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때문에 당장 수산물 소비 위축을 막기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근본적인 시설을 만들어 줘 소비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게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한 수산단체장은 “정부도 어려운 입장이지만 이번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계기로 수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정부의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내년 해양수산부 예산에도 이런 사업은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눈앞에 있는 불만 보일 뿐 불이 꺼지고 난 뒤를 생각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그는 “이제라도 수산물 판매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예산을 증액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문영주>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