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등 수산선진국서 블록체인 도입 검토
우리나라서도 DNA 바코드 접목방안 고려 중

 
캐나다 등 수산선진국들이 수산물 유통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블록체인 도입을 검토 중인 가운데 수산식품 사기의 대응 방법으로 DNA 바코드를 이용하자는 의견이 제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채령 KMI 수산연구본부 수산정책연구실 연구원은 “최근 도입을 검토 중인 블록체인 기술만으로는 허위서류 작성, 현물포장 교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 같은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일각에서는 DNA 바코드를 이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DNA 바코드는 FAO 보고서에서도 수산식품 사기의 대응방법으로 제안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분자식별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최초 어종과 유통된 어종의 DNA를 비교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FAO의 수산물 사기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브라질, 중국 등 많은 국가에서 수산물 허위표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산물 사기란 판매자가 더 많은 이익을 취하기 위해 소비자를 호도하는 행위를 말한다. 저렴한 어종으로의 대체, 원산지를 속이기 위한 라벨링 허위표시, 모조품 판매, 불법 또는 미허용 첨가물 사용, 중량 증가를 의도한 물 주입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수산물 사기는 소비자가 잘못된 가격을 지불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해양보존과 소비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검토 중인 게 수산물 유통에 블록체인 기술접목을 시도하고 있는 것.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만으로는 허위서류 작성, 현물포장 교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연구진은 DNA 바코드를 이용한 수산물 사기 실태를 밝혀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채령 박사는 “정부 또는 민간 차원에서 수산물 유통 개선을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할 시, 기술의 완전성을 높이기 위해 DNA 바코드 접목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수산물의 부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주도해 2021년까지 수산물 250여 어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일명 ‘유전자 바코드’), 형태학적 구별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은경>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