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산업 전망, ‘지난해보다 못할 것 같다’ 가 절반 넘어
수협회장 연임, 응답자 72.1% ‘연임 허용, 권한과 책임’ 강조

수산인들은 올해 수산업 전망을 올해보다 더 어둡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또 올해 수산업 전망에 대해 가장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상 기후 등 기후 변화’를 꼽았다. 정부의 수산정책에 대해서는 잘못하고 있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특히 수협의 미래에 대해서는 ‘희망이 있다’와 ‘변화가 없으면 희망이 없다’는 응답자가 팽팽하게 맞섰다. 회장 연임에 대해서는 무려 70%가 넘는 사람들이 ‘연임을 허용하고 거기에 따른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본지가 2016년 새해를 맞아 수산인들이 올해 수산업 전망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또 정부 수산정책과 , 수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난 사실이다. 본지는 지난달 2일부터 10일까지 수협 조합장 등 수산계 오피니언 리더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률은 44%다. <편집자 주>


□ 올해 수산업 전망
‘지난해 보다 못할 것 같다’ 부정적 시각 많아

‘올해 수산업 전망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51.1%가 ‘지난해보다 못할 것 같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지난해 보다 나아질 것이다’는 응답도 41.9%나 나와 수산인들이 수산업에 대해 희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7%에 그쳤다.

□ 한중 FTA 체결 등 영향
‘값싼 수산물 수입 수산업 기반 흔들 것’ 우려

‘한중FTA 체결 등이 수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는 가’라는 질문에 72.1%가 ‘오히려 값싼 수입수산물이 들어와 우리나라 수산업 구조를 흔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수출 확대라는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는 응답은 27.9%에 불과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6%에 불과했다.

□ 올 수산물 생산 가장 큰 변수는?
절반 가까이가 ‘이상 기후 등 기후변화’ 지적

‘내년도 수산물 생산에 가장 큰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상 기후 등 기후변화’라고 응답한 사람이 41.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불법어업 등으로 인한 자원감소(30.2%), ‘정부의 수산정책(2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사람은 한명도 없었다.

□ 정부 수산정책에 대해선
‘잘못하고 있다’가 제일 많아 행정소비자 정책불신

‘정부가 수산정책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4.2%가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은 9.3%에 그쳤다. 반면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39.5%나 나왔다. ‘그저 그렇다’는 응답 가운데 절반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본다면 64% 가량이 정부 정책을 불신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행정 소비자들의 정책 불신이 적지 않아 보인다.

□ 정부의 수산정책에 대해
‘자원 관리’ 정책 강화 필요 의견 제일 많아

‘어떤 분야가 좀 더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 ‘자원관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41.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어민지원’으로 39.5%, ‘정책자금’이 18.6%를 차지했다.

□ 해수부 인사 관련
‘수산직 반드시 필요’와 ‘비수산 상관없다’ 거의 반반

‘해양수산부 수산 쪽에 해운항만청 출신이나 비수산직이 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51.2%가 ‘수산 쪽에 수산을 모르는 사람이 오면 안 된다’고 했다. ‘누가 오던 수산을 발전시킬 사람만 오면 된다’가 37.2%, ‘수산 쪽에 반드시 수산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7.0%, ‘경쟁 사회니 적자생존의 법칙에 따라야 한다’가 2.3%로 나타났다. ‘수산 쪽에 수산을 모르는 사람이 오면 안 된다’는 사람과 ‘그 반대편’ 시각에 있는 사람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 수협 회장 연임에 대해
‘회장 연임과 권한 · 책임 강화’  80%지지

‘연임을 허용하고 거기에 따른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가 전체의 72.1%를 차지, 압도적인 차로 ‘연임과 회장의 권한 · 책임 강화’를 지지했다. 게다가 ‘비상임 회장에 대해 연임을 제한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일이다’가 7.0%를 차지, 응답자의 80%가 회장 연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회장 권한 남용을 막기 위해 연임을 허용해선 안 된다’는 4.6%에 불과했다. 이 질문에서는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도 10% 가까이(9.3%) 나왔다. 

□ 수협 미래에 대해
‘희망이 있다’와 ‘변화 없으면 없다’가 비슷

‘수협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희망이 있다’와 ‘변화가 없으면 희망이 없다’가 똑 같이 44.2%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금 상태라면 5년 후 다시 공적자금이 필요할지 모른다’는 응답이 4.6%를 차지해 ‘희망이 있다’보다 ‘없다’ 쪽에 더 무게가 실렸다.

□수협 본연의 역할에 대해
62.8% ‘수협이 잘하고 있다’ 반대편에

‘수협중앙회가 본연의 역할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저 그렇다(55.8%), ’전혀 역할을 못하고 있다(7.0%)‘고 평가했다. 반면 ’잘 하고 있다‘는 37.2%에 그쳐 수협이 본연의 역할을 잘못하고 의견이 훨씬 더 많았다.

□ 수협중앙회 기능 관련
‘중앙회와 회원 조합 간 소통’ 제일 많아

‘수협중앙회가 어떤 일을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 하느냐’는 질문에 34.9%가 ‘중앙회와 회원 조합 간 소통강화’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어업인 지원을 위한 대국회 활동 강화(27.9%)’를, ‘어업인 복지 지원(25.6%)', '정부로부터 예산을 많이 받아 오는 것(11.6%)' 순으로 나타났다. <문영주>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