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 선진국으로의 도약, 지금부터 준비해야 ①

 

필자는 (사)한국자율관리어업연합회의 회장으로서 자연스레 우리나라 수산업 발전과 어업인 소득증대 방안 등에 대하여 고민하는 일이 잦다. 자율관리어업연합회는 어업인 스스로가 서로 합심하여 어장 및 자원을 자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어업인 소득을 증진하는 등 어촌지역의 공동발전을 추구하는 단체이다. 매년 자율관리어업 전국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지난 11월 7일에는 벌써 10회째 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수산업은 농업과 달리 주로 공유물을 채취하거나 공동어장에서 행해지는 사업으로서, 개인이 어장 및 자원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관리를 법으로써 통제하는 것도 많은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자율관리어업 공동체를 통하여 어업인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어장과 자원을 관리하는 것은 어업인 자긍심 고취, 지속적인 어업소득, 자원관리 효과 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과거와 달리 어업인의 교육과 의식 수준도 매우 높아져, 자율관리어업의 효과는 앞으로 더 향상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 수산업과 어촌사회가 획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어업인의 자율적인 활동으로는 한계가 있다. 아직도 우리 공동체는 마을어장을 중심으로 한 양식어업인의 비중이 높으며, 어선어업인의 비중은 낮은 편이다.

이는 잡는 어업의 경우, 잡는 만큼 소득이 증가하고 어업인 개인이 스스로 의식을 가지고 어획제한을 실행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연근해의 수산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선어업인의 참여가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해당 어업인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산당국은 어업인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설득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정확한 과학적 조사에 근거한 수산자원관리 방안 자료이다.
 

필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견해이긴 하지만, 수산업에 오랜 세월 몸담아 왔던 경험과 수산인으로서 수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우리나라 수산업의 문제점과 수산업 재도약을 위해 필요한 것을 격식 없이 말씀드리고자 한다.
 

60~70년대 우리나라 수산업은 국가산업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였고 원양어업의 번창으로 수산업이 외화벌이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원양어업에서 번 돈으로 국가기간산업을 일으킬 정도로 수산업이 중요한 산업이었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관심과 지원도 컸었다. 다른 산업이 발전하기 전이고 못살고 어려운 시절, 먹거리를 먼저 해결해야 했으므로 바다에 있는 자원을 무한정 잡아내던 시절이었으며, 그리고 그 때에는 ‘물 반, 고기 반’일 정도로 수산자원이 풍부했었다.
 

그러나 오늘날 쥐치, 꼼치, 까나리(강원도에서는 양미리라 일컬음), 도루묵 등과 같이 과거에는 먹거리로 관심도 없었던 물고기가 특별한 기호식품으로 대접을 받을 정도로 귀해졌다. 실제로 과거에 비하면 우리나라 바다의 수산자원은 고갈직면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