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조업활동 축소가 주요 원인

9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연이은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절반 가까이 줄었다.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7만 7천 톤으로 전년 동기(13만 6천 톤)에 비해 44% 감소했다. 생산량 부진은 9월 발생한 태풍 링링, 타파, 미탁 등의 영향으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주요 어종별로는 멸치 2만 2천 톤, 고등어 8.2천 톤, 오징어 6.7천 톤, 전갱이 5.2천 톤, 갈치 4.1천 톤, 꽃게 4.1천 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 감추이를 살펴보면, 전갱이(19%↑), 꽃게(16%↑) 등은 년보다 증가했고, 살오징어, 삼치, 가자미류는 전년 수준, 고등어(71%↓), 붉은대게(61%↓), 참조기(54%↓), 갈치(37%↓), 멸치(29%↓)는 전년보다 감소했다.

전갱이는 제주 남부해역에 적정수온이 형성된 것과 함께 선망어업의 고등어 조업 부진에 따라 전갱이를 대상으로 한 어획노력량이 늘면서 전년보다 높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꽃게는 지난해 산란기(5~8월)에 적정한 산란환경 형성으로 유생밀도가 전년보다 86%나 증가함에 따라, 산란량 증가 및 높은 초기 생존율이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고등어는 주요 어업에서 기상악화(태풍 등)로 인해 조업일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데다 주 어장인 제주도 주변해역~서해 중부해역에 걸쳐 형성된 저수온(1.0~2.0℃↓) 영향으로 어장 형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산량이 대폭 감소했다.

붉은대게는 업종 간 조업경쟁에 따른 과도어획 및 불법어획(금지체장 미만 또는 암컷)이 지속돼 자원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활어상태의 붉은대게 유통이 늘면서 활어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업시간 단축도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갈치는 주 어장인 제주 서부해역 및 서해 남부해역에서의 저수온(1.0~2.0℃↓) 분포와 주요 먹이생물(멸치)의 분포밀도 감소에 따른 어군분산으로 생산량이 감소했다.

멸치는 기상악화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와 주 어장인 남해의 저수온(1.0~1.5℃↓) 분포 영향으로 어군이 외해로 분산되면서 생산이 줄었다.

9월 연근해어업 생산액은 전년(4,929억 원)보다 감소한 3,549억 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어종별로는 전년보다 삼치(115억)가 16%, 청어(7억 3천)가 122% 증가했고, 꽃게(480억), 가자미류(63억)는 전년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오징어(502억)는 15%, 멸치(443억) 25%, 갈치(255억) 49%, 참조기(159억) 60%, 고등어(122억) 59%, 전갱이(42억) 25% 전년보다 생산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