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면 자원 고갈…현실적 정책 필요
"내수면 각종 정부지원사업에서 제외…갈수록 혜택 줄어"

 
부산의 구포어촌계는 그 역사와 활동성면에서 전국의 어촌계 중 대표어촌계 중 하나라고 부를만하다.

1962년 9월 인가를 받아 55년 이상 이어온 어촌계다. 구포어촌계는 2011년 자율관리어업공동체에 가입했으며 2014년에는 내수면어로어업연합회에 가입했다. 또 (사)전국내수면어로어업연합회가 지난 3월 공식 출범하면서 구포어촌계는 (사)전국내수면어로어업연합회 부산지회(회장 조호성, 이하 부산회)의 역할도 맡게 됐다. 현재 부산지역의 내수면어업인은 350여명인데 현재 부산지회의 회원수는 65명이다.

 
조호성 회장은 부산지회에 대해 “어업인들의 친목도모와 함께 공동체어업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출범한 모임”이라고 소개했다. 어민들의 권익보호와 소득보장 및 증대가 주요사업방향이다.

“내수면어업인들은 힘든 환경에서 어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어종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정부 지원사업에서도 내수면어업은 제외되어 있습니다. 해수면어업과 차별하는 정부정책의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구분없는 정책지원으로 내수면어업인들에게도 충분한 혜택이 주어져야 합니다.”

부산지회가 현재 맞닥뜨린 가장 큰 어려움은 낙동강의 수산자원 고갈이다.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이는 어민소득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조 회장은 낙동강 하구둑을 개방하면 생태환경이 복원됨과 동시에 수산자원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호성 회장은 해수부가 지난 7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어업인수, 소득현황 등에 대한 전수조사에 대해서도 정부가 현실성 있는 행정을 펼쳐달라고 요구했다. 내수면어업인들은 수산자원이 부족해 허가별로 어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패류 채취가 적은데 기초자료 작성시 이 같은 현실을 충분히 반영한 조사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내수면어업을 살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어촌계와 관계당국에서 치어방류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실질적인 해결책이 되기까지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사실이다. 당장 어민들의 소득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소득이 보장되지 못해 어업을 포기하고 어업공동체를 떠나는 사례가 많다. 부산지회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조 회장은 “어업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다면 잡는 어업에서 수산물 판매 및 관광사업까지도 전환해 어민들의 소득을 보장하려고 한다”며 “내수면 어업에 대한 정부 정책지원도 일회성이 아닌, 먼 미래를 내다보고 준비하는 방향으로 고민하고 실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진>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