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율관리어업제주연합회 김홍철 회장 인터뷰

 
한국자율관리어업연합회(이하 연합회) 임원진은 모두 14명이다. 본지는 올해 자율관리어업 사업 예산이 반토막 나는 초유의 사태를 맞아 연합회 임원진을 차례로 만나 문제해결 방안과 관련해 인터뷰를 진행해왔다. 네 번째 인터뷰 주인공은 한국자율관리어업제주연합회 김홍철 회장이다.
김 회장은 제주 지역에 있다 보니 이사회를 참석하지 못할 때도 많다며 인터뷰에 흔쾌히 응했다. 지면을 통해 연합회 이사들의 생각을 알리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국자율관리어업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자율관리어업 사업은 말그대로 어민들이 자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고 어업활동을 해나가라고 정부(해양수산부)에서 만든 사업입니다. 해양수산부가 올린 예산을 기획재정부가 일방적으로 반토막 낸다는 것이 저로서는 납득할 수 없습니다.”
이어 김 회장은 “지금까지 자율관리어업은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회가 함께 지도·감독을 해왔습니다. 당연히 어촌계의 현장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이들이 바로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회입니다. 그런데 기획재정부가 연구용역을 주고  그로부터 받은 결과만을 일방적으로 반영해 예산을 삭감한다는 것이 말이 됩니까?”
여전히 김 회장은 정부의 예산 삭감 결정을 받아들이기 힘들어 보였다. 지난해 12월 이사회가 개최될 때도 마음은 이사회에 달려가고 싶었으나 제주해녀의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과 관련해 시찰이 있어 불참할 수밖에 없었던 그다. 멀리서 해양수산부 항의 방문을 갔다 몇몇 이사들이 배경설명만 듣고 돌아왔다는 소식만 들었으며 답답한 마음이라고 했다.
“지난해 초부터 자율관리어업 사업이 위기라는 얘기가 돌기는 했지만 풍문만 가지고 적극적 대처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 않습니까? 집행부가 안일한 대처를 한 부분도 없지 않지만 연합회는 나름대로 양적 발전을 도모해나가자는 큰 기조를 세워 자율적으로 사업발전을 모색하고 있었습니다.”
김 회장은 특히 아쉬운 부분 중 하나는 제주도는 다른 지역과 다른 특성들을 갖고 있는데 그 부분이 전혀 이번 평가에 반영되지 않은 점이라고 토로했다. 육지에서는 어촌체험 활동이나 다른 사업들을 해나가기가 수월하지만 제주도는 그렇지 못하다. 해녀들이 중심이 되는 공동체이다보니 마을 어장 살리기 사업을 진행하더라도 해녀들의 생활이 먼저 보장돼야 한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태를 풀어나갈 방안을 묻는 질문에 김 회장은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회에 아쉬움을 표했다.
“한국자율관리어업 사업이 진행되면서 일부 ‘나눠주기 식’으로 공동체에 예산이 나간 부분도 없지 않습니다. 앞으로라도 모범이 되는 공동체를 중심으로 실이익이 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중앙연합회 차원에서 각 지역 연합회의 애로사항을 확인해서 해양수산부에 건의해주었으면 합니다.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회가 더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