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유은영

 
김수출 3억불 달성을 위해 007프로젝트 버금가는 움직임이 목격됐다. 지난 두 달여 동안 해양수산부는 물론이고 한국수산무역협회, 김산업 연합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수산회 등의 수산단체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을 비롯한 연구기관들도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김수출 3억불 달성을 도우려고 애를 썼다. 수산계에서 보기 힘든 발빠른 움직이었다.
지난 11월 해양수산부 주체로 열린 수출진흥 협의회에서 김산업연합회의 박덕술 회장은 남은 두 달여 기간 동안 3억불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며 물류비 지원을 요청했다. 이어 한국수산무역협회는 김수출업체 간담회를 실시, 수출업체들을 독려했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일명 ‘장보고 프로젝트’를 가동, 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특별 판촉행사, 해외 대형 바이어 발굴 등 해외마케팅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외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는 컨퍼런스를 연이어 개최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은 한편으로 반갑지만 마냥 박수쳐줄 수 없는 일이다. 왜냐하면 이 지원들이 모두 3억불 달성이라는 가시적 성과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언발에 오줌누기 격으로 당장 효과를 볼 수 있는 물류와 마케팅 지원에만 치중됐다는 비판도 나온다.
볼멘 소리가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몇 년 동안 계속 제기된 김 위생기준 마련이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나 일본도 김에 대한 특별한 위생기준을 갖고 있지 않지만 중국은 자체 기준을 갖고 있다. 중국의 경우 김 위생기준은 김수출을 가로막는 ‘비관세 장벽’이 되고 있다. 중국의 불합리한 위생기준 시정을 요구하기 위해서라도 국내 김 위생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또 해조류의 특성을 반영한 납, 카드뮴 등의 기준수치 마련도 해외 수출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업 중 하나이지만 아직 정부는 뚜렷한 답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김은 국내 농수산 식품 중 수출 실적 2위에 올라있는 효자품목이다. 정부가 명심해야 할 것은 3억불 달성보다 중요한 것은 김산업화라는 사실이다. 이것이 종묘개발, 마른김 생산부터 제품개발, 유통판매에까지 전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김산업연구소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신년에는 정부가 11월부터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1월부터 움직여주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