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의 83.3% “새로운 해양수산부 구체제 부활 아닌 기능에 변화” 지지

새 정부 해양수산부 부활공약 관련, 87.5% “해양수산부 부활될 것이다”
가장 바라는 형태는 45.8% “전 해양수산부에 기상청·조선 기능 추가한 형태”

Q 대선 후보들이 해양수산부 부활을 공약했는데 새 정부가 해양수산부를 만들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Q 해양수산부가 부활된다면 어떤 형태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신설을 눈앞에 두고 있는 현 시점에 일선수협 및 유관기관의 87.5%가 실현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해양수산부가 부활된다면 어떤 형태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는 질문에 가장 많은 45.8%가 ‘전 해양수산부에 기상청·조선 기능 등을 추가한 형태’라고 답했고, 그 다음으로 많은 37.5%가 ‘해운항만을 제외한 수산·해양 환경 등을 포함한 형태’를 지지해 압도적인 다수의 응답자가 과거 해양수산부의 단순한 유지가 아닌 조직을 보완한 새로운 형태의 해양수산부를 지지했다. 12.5%의 응답자만이 ‘전 해양수산부 형태’ 그대로를 원한다고 답했다.


수산부문 홀대와 관련 응답자의 95.8% ‘수산을 홀대했기 때문’
구체적 이유로 66.6% ‘해운항만 위주의 조직구성과 어업·수산인 홀대’ 지적

Q 해양수산부 때 수산이 홀대받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데 왜 이런 얘기들이 나왔다고 생각하는가?
Q 무엇을 홀대했다고 생각하는가?
 

“해양수산부 때 수산이 홀대받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데 어떻게 생각하는가”는 질문에 응답자의 95.8%가 ‘수산을 홀대했기 때문’이라고 답했으며 4.2%만이 ‘모르지만 그런 얘기를 하기 때문’으로 답했다.
 위의 질문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홀대했다고 생각하는가”는 질문에 33.3%가 ‘조직이 해운항만 위주로 만들어 져서’라고 답했고, 역시 33.3%가 “어업인 및 수산인들을 홀대해서‘라고 답해 기존의 해운항만 위주의 해양수산부 운영에 불만이 많았음을 드러냈다. 이밖에 ’수산 쪽 자리를 해운항만청 출신이 차지해서‘라는 응답자는 16.7%였고 ’수산 예산을 적게 배정해서‘라고 답한 응답자는 8.4%였다.


과반수가 “수산부문의 예산 확대 및 정책 개발”을 해양수산부의 주안점으로 지적

Q해양수산부가 부활된다면 수산업 발전을 위해 어떤 것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Q 수산정책은 어디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해양수산부가 부활된다면 수산업 발전을 위해 무엇을 우선으로 해야 하는가”는 질문에 33.3%의 응답자가 ‘수산부문 예산 확대’라고 답했고 역시 같은 33.3%의 응답자가 ‘수산정책 개발’이라고 답해 과반수 이상이 예산과 정책 분야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이밖에 25%가 ‘어업인 복지 향상’이라 답했고 8.3%가 ‘수산부문 직제 확대’를 선택했다.
“수산정책은 어디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는 질문에는 과반수가 넘는 58.3%가 ‘각종 제도 정비’를 지지했고 41.7%는 ‘수산자원 조성’을 지지해 일선 조합장들이 생각하는 수산정책의 핵심은 제도정비와 수산자원 조성에 있음을 나타냈다.

 

응답자 37.5% 수협 개혁의 시작은 “중앙회 지배구조 개편”으로부터 
5인기준 새 협동조합 설립요건 66.7% “수협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Q 새 정부가 수협 개혁을 추진한다면 어느 것부터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Q 내년부터 5인이상 이면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이것이 수협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새 정부가 수협 개혁을 추진한다면 어느 것부터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는 질문에 가장 많은 37.5%가 ‘중앙회 지배구조 개편’을 꼽았으며 20.8%가 ‘’중앙회와 회원 조합 간 관계 정립‘을 지적해 과반수가 중앙회의 구조와 운영방식에 불만을 표시했다. 16.7%는 ’모랄헤저드를 막기위한 제도개선‘을 꼽았으며, 역시 16.7%의 응답자가 ‘신용과 지도·경제 분리’를 지적했다. 
“내년부터 5인이상 이면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이것이 수협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는 질문에는 과반수인 66.7%의 응답자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답해 변경된 설립요건이 수협 조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했다. 25%만이 ‘그렇지 않을 것이다’를 선택했다.


어촌계 운영, 58.3% 응답자 “지금처럼 수협이 지도,감독하는 것”에 지지
응답자 37.5% “어업경영비 증가”를 새해 가장 걱정되는 부문으로 선택해  

Q 정부가 어촌계 선진화 대책을 추진하면서 전국어촌계협의체를 구상하고 있다. 어촌계를 어떻게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가?
Q 새해에 가장 걱정되는 부문은 어떤 부문인가?
 

“정부가 어촌계 선진화 대책을 추진하면서 전국어촌계협의체를 구상하고 있다. 어촌계를 어떻게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가”는 질문에 응답자의 58.3%가 ‘지금처럼 일선 수협이 지도·감독하는게 맞다’고 응답해 과반수의 응답자가 현재의 운영 시스템을 옹호했다. 반면 ‘어촌계가 독자적·자율적으로 운영하는게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29.2%였으며, 12.5%의 응답자는 ‘전국협의체를 만들어 중앙회가 지도·감독하는 게 맞다’를 선택했다.
“새해에 가장 걱정되는 부문은 어떤 부문인가”는 질문에 37.5%가 ‘어업경영비 증가’를 선택해 갈수록 심화되는 어업비용 문제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25%의 응답자는 ‘자원 감소’를 염려했고 20.8%는 ‘선원 등 어업 인력 확보 문제’를 택했으며, 16.7%는 ‘FTA 등으로 인한 외국산 수산물 수입’을 지적했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